분해합(2231번)
문제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 된다.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. 물론,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. 반대로,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.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.
코드
생성자 M은 입력값인 N보다 항상 작으므로 for문의 범위를 1부터 N까지 완전탐색한다.
생성자 M의 각 자릿수의 값을 1의자리로 변환하는 과정을 재귀함수로 사용해서 구한다.
# 메모리 : 29088KB, 시간 : 1092ms
def sum_num(i, hap):
hap += i%10
i = i // 10
if i > 0:
return sum_num(i, hap)
else:
return hap
def bunheahap(N):
for i in range(1, N):
hap = 0
hap = sum_num(i, hap) + i
if hap == N:
return i
else:
return 0
N = int(input())
print(bunheahap(N))
하지만, 문제는 통과했지만 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어 다른 사람코드를 확인해봤다.
# 메모리 : 29088KB, 시간 : 72ms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max(1, N-54), N+1):
if N == i + sum(list(map(int, str(i)))):
print(i)
exit(0)
print(0)
코드 작성자는 생성자의 범위를 N-54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다로 두어 반복의 수를 줄였다. 이유는 https://itadventure.tistory.com/158를 참고하면 좋을꺼같다.
또한, 나는 재귀함수를 사용해 분해합을 구했지만 본 코드 작성자는 i + sum(list(map(int, str(i))))
을 사용해 합을 구한다.
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.
알고리즘 분류
- 브루트포스 알고리즘